'사는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472건

  1. 2021.01.25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2. 2020.12.15 시민 케인,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3. 2020.11.16 다시 잡은 플룻
  4. 2020.11.13 코로나,우체국 해외배송
  5. 2020.10.27 이건희 회장
  6. 2020.09.26 다시 5년 전으로...
  7. 2020.09.04 선거
  8. 2020.08.28 아버지
  9. 2020.08.15 Flooding
  10. 2020.08.04 HVAC 교체

외출 없는 주말 오후..

책을 읽던 율이가 갑자기 몇 일전 동네 놀이터에서 돌아오면서 들려주던 음악을 틀어달라고 한다.

Beethoven's 50 popular music을 최근에 틀고 다녔던 거라 감이 오지 않았는데...

율이가 흥얼거리는 리듬과 하나씩 찾다 보니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이다.

 

음악을 들어보니 꽤 정확하게 리듬을 기억하고 있어 놀랐다.

기껏해야 한 두번 들어봤을텐데... 이렇게 기억하는게...

 

다른 한편으론 다양한 음악들을 손쉽게 들을 수 있는 율이가 좀 부럽기도 했다.

 

난 어렸을 땐 기껏해야 베토벤 5번 , 9번 교향곡 정도만 알고 있었고.

그나마 대학교때쯤 영화 "불멸의 연인"을 보고

영화 음악 카세트 테이프가 늘어나도록 들어서 베토벤에 조금 친숙해진 나에 비해선

너무도 쉽게 다양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율이나 이 세대가 참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해보면 지금 자라나는 친구들은 각종 기술들의 발달로 다양한 많은 것들을 보고 배울 수 있는 그런 세대인 듯 하다.

좀 부럽기도 하고.. 한편으론 너무 많은 것들을 알고 지내야 해서 더 힘든 그런 삶을 살게 되지 않을 까 걱정도 된다.

 

그나저나 난 어렸을 떄 부터 풀룻을 좋아 하면서 자랐는데.. 율이는 바이올린을 많이 좋아 하는 듯 싶다.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ul & Disney+  (0) 2021.02.11
COVID19  (0) 2021.01.30
다시 잡은 플룻  (0) 2020.11.16
이건희 회장  (0) 2020.10.27
다시 5년 전으로...  (0) 2020.09.26
Posted by headiron
,

WPP를 떠 나온 후 정말 몇 년 만에 주말 근무를 하게 되었다.

뭐.. 정확히는 16M 데이터를 주중에 입력하는게 너무 부담되어 주말에 넣겠다고 자원한거지만.

 

어쩃든.. 주말 작업은 하는데.. 또 딱히 일 하는 것 보다는 작업 모니터링해양 하는 일이 다 보니 

그동안 묵혀놨던 영화나 보자 싶었다.

 

HBO Max를 오픈하면서 추가된 Citizen Kane과 North by North west.

 

Citizen Kane은 언제나 20세기 최고 영화를 꼽을 때 마다 순위에 있는 영화라서 한 번은 꼭 봐야지 했는데...

사실 줄거리는... 뭐.. 좀 진부하다.. 

부모가 발견한 금광으로 갑자기 부자의 삶을 살게된 사람이 죽기 직전에 결국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리워 한다는..

정말... 뭐.. 보잘 것 없는 그런 스토리의 영화인데...

근데.. 이 진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참 괜찮다...

 

케인이 죽으면서 했다는 다잉 메시지 "로즈버드"의 뜻을 찾기 위해 조사에 나서

케인의 생애를 함께한 사람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케인의 인생을 보여주는 그런 방식이었다.

 

흡사 "박하사탕"을 봤을 때 그런 느낌이었다.

 

첫 장면이 로즈버드를 찾아야 했던 이유를 보여주기 위해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다보니 예전 영화들은 저랬던건가 했다.

그리고 연기 하는 모습이나 말투가 지금하곤 상이해서 좀 거북(?) 했는데... 익숙해 지니 꽤 괜찮았다.

그리고 왜 그렇게 오랬동안 최고의 영화로 손꼽히는 지 이해가 갔다.

 

North by North west는... Citizen Kane을 찾다가 보게 되었는데..

어렸을 때 봤던 기억은 있는데.... 다시 한 번 히치콕 영화를 보고 싶어 보게 되었다.

 

내용은...

우연히 범죄조직을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의 인물로 오인된 뉴욕의 사업가( 심지어 광고관련 종사자)가

자신의 누명(?)을 벋기 위해 벌이게 되는 에피소드를 줄거리로 한다..

 

영화를 보며 어렸서 이해 못했던 것들이 사실은 미국을 잘 몰라서 였다는 걸 영화를 보는 내내 느끼게 되었다.

 

영화를 보고나서 정보를 찾다보니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는 제목은 일본의 제목을 다시 번한 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사실은 그냥 멋있게 붙여진 이름인데..

영화 중간에 시카고에서 러쉬모어를 가기위해 시카고에서 "North West" 항공기를 타는 장면이 나온다..

근데 웃긴건... 러시모어는 시카고 서쪽이지 북쪽은 아니라는거...

 

뭐.. 어쩃든.. 오랜만에 하는 주말 철야 근무가

오래만에 본 명작영화 덕분에 힘들지 만은 않았다.

 

앞으로도 HBO Max에 있는 재밌는 옛날 영화들 찾아 보는 그런 시간을 가져 볼까 싶다.

'사는이야기 >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랜드  (1) 2021.05.07
스타워즈 JJ Abrams  (0) 2021.02.22
Split  (0) 2019.03.12
택시 운전사 ... 광주..  (0) 2018.11.12
마이웨이  (0) 2013.04.07
Posted by headiron
,

아마도 작년 이맘때였나.. 갑자기 플룻이 소리가 나지 않는거다.

 

예전에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는데.. 마침 그때는 선화예고 덕분에 집근처에 악기 수리점이 있어서 쉽게 고쳤었는데..

 

새 거를 사자니 비쌀 듯 하고... 수리를 맏기자니 마땅히 생각나는 곳이 없고..

 

단순히 청소를 해 주면 낳아 질까 생각해서 시간 날 때 하려고 내 방에 가져다 놓고.. 근 1년이 지난 듯 싶다.

 

무슨 생각이었는지.. 갑자기 유튜브로 플룻 고장 났을 때 영상들을 찾아보고...

 

그리고 플룻을 유심히 보니 메인 파트에 있는 나사 하나가 풀려서 손 잡이가 고정되지 않는 거였다.

 

흐미... 겨우 이거 하나때문에... 그리고 왜 그 땐 플룻 청소만 찾고 고장 난 걸 안 찾았는지..

 

1년 만에 다시 연주해 보니.. 소리는 좀 탁한고.. 운지법이 기억이 안 나는데.. 손가락이 운지법을 기억한다.

 

뭐.. 이래저래 그래도 한 5~6년을 했으니... 손 가락이 기억할 법도하다.

 

생각해보니 지금 가지고 있는 플룻도 산지가 25년 가까이 되간다. 

 

초등학교 때 부터 가졌던 플룻에 대한 로망...

 

사회 생활하면서 나를 위해 처음 돈을 주고 샀던 게 이 플룻 이었던 것 같다.

 

처음에 레슨 받고 소리도 못내보서 10년을 집 한쪽 구석에 썩혀두었다가 

 

결혼 축가하려고 다시 레슨 시작해서 ... 한국에선 업무시간전에 서버실에서 연습하고..

 

미국와선 남들 없는 공원 주차장에 차 세워 놓고 연습하곤 했었는데..

 

이젠 집에서도 주유롭게 연습할 수 있는데....

 

율이도 곧 잘 피아노를 치니깐 은근히 같이 연주하게 플룻 고치라고 성화였는데.

 

이젠 3학년도 되어가니 본인이 생각이 있다면 플룻을 가르쳐 주고 싶기도 한데...

 

내 소리가 별로 라서 좋아할지는 모르겠다.

 

어쩃든.. 그 동안 못했던 연습도 다시 해보고...

 

이제는 한 단계 높은 플룻을 한 번 사볼까 욕심도 좀 생기기도 한다.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VID19  (0) 2021.01.30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0) 2021.01.25
이건희 회장  (0) 2020.10.27
다시 5년 전으로...  (0) 2020.09.26
아버지  (0) 2020.08.28
Posted by headiron
,

지난 금요일 율이 학교 직원 중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뭐 예상 했듯이 지난 봄 처럼 확교 폐쇄 같은 것은 하지 않았다.

그래도 뭔가 학교를 Close하는 Protocol이 있지 않을 까 싶어 School Distinct 홈페이지를 가서 주의 깊게 잃었는데...

Country의 운영 수칙에서 5 day 등교 옵션이 없어질 경우 이틀 만 학교를 가는 Hybrid로 운영한다는 정도의 내용 밖에 찾을 수 없었다.
결국 환자가 많이 나와도 특별히 Close하지는 않겠다는 방침인거다...

 

처가집에서 보내준 94 마스코도 있지만 그래도 양이 부족해서 세탁 가능한 천 마스크를 입혀서 학교를 보내고 있었는데 

당장 확진자가 발생하고 나니 K-94 마스크를 써야 겠다 싶은데... 문제는 매일 입혀 보내기에는 수량이 부족하다.

 

마침 한국에서 마스크를 해외 발송하는 제한이 풀렸다는 얘기는 들었는데....그렇다고 또 처가집에 부탁하자니 미안하고...

그래서 찾아 보니... 한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배송대행 서비스가 있는것이다.

특히나 놀라운건 일부 지방에 있는 우체국에서 해외 배송 대행 서비스를 하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게 가능하지 싶어 찾아보니...

예전에 우체국망을 구축하면서 정부에서 직접 우체국을 개설/운영하기 힘든 벽지 지역에는 개인이 우체국을 설립 운영하는 걸 허용했었다고 한다. 그 우체국들이 인구 감소로 인한 배달 물량 감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그 타개책으로 해외 배송 대행을 운영하게 된 것이었다. 찾아보니 상주 외서 우체국이 그 중 꽤 유명하고, 잘 운영되는 것으로 나온다.

 

개인이 운영하는 우체국이 있었다는 사실도 놀라웠는데...

수익 감소를 이겨내기 위해 해외 배송 이라는 아이디어를 냈다는 것도 참 놀라웠다.

 

그래도 인지 상정이라고 남원에는 없나 싶어 찾아 보니 남원 수지 우체국도 해외 배송을 운영한다. 이왕이면 금지 우체국이었으면 했는데..

어쨋든 G-market 해외배송 보다는 이렇게 이용하는게 물건 구하기도 싶고, 좀 저렴하지 싶다.

집사람은 판도라의 상자를 열은 것 같다고 좋아(?) 하고...
나는 .. 흑... 내가 왜 그걸 찾아 냈을 까... :-( 

 

'사는이야기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gh school Rank in PA  (0) 2021.04.29
Mega back door & First saving account  (0) 2021.04.21
선거  (0) 2020.09.04
Flooding  (0) 2020.08.15
HVAC 교체  (0) 2020.08.04
Posted by headiron
,

이건희 회장

사는이야기 2020. 10. 27. 02:30

아침에 일어나 LA:Tampa 월드시리즈 경기 결과를 검색하다가 이건희 회장이 운명했다는 소식이 눈에 들어왔다.

다들 공과 사를 떠나 추모하는 분위기인 듯 한데... 

사적으론 연이 없고... 공적으론 존경할 수 없어서인지 그런 말이 나오질 않는다.

 

뭐.. 삼성을 이만큼 키워왔지 않냐 하면 뭐.. 그럴 수 있지만..

그러면서 얘기했던 수 많은 거짓말과 죄들이 덮여지지는 않지 않는거 아닌가...

 

심지어.... 기아자동차를 부도 배후로 삼성이 공공연히 회자되고... 

한보 + 기아 부도가 IMF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

어쩌면 한국이 겪었던 그 아픔의 제일 안쪽에 있을 수 있는데...

 

제일 어의가 없는 건 골프가 삼성의 3대 스포츠라면서

스포츠 중에 심판이 없이 하는 페어한 게임이라니..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저질렀던 수많은 일들 생각하면... 

뭐.. 밑에 있는 사람들이 했고, 밑에 있는 사람들이 해준 워딩이라 하면...

대체 왜 18만 삼성이 열심히 해서 만든 결과는 본인아 가져가고..

과는 왜 안 가져가는 건지...

 

집사람은.. 농담처럼 이건희와 이재용이 이렇게 집도 사게 해줬으니 이건희 회장 죽으면 조문가라고 했는데..

돈 때문에 고마워 하는 마음은 들지 않는다.. 

다만 삼성 그만두게 되어 내 인생의 방향을 틀어줬던 거에 대해서는 조금 고마워하고 싶다.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61  (0) 2021.01.25
다시 잡은 플룻  (0) 2020.11.16
다시 5년 전으로...  (0) 2020.09.26
아버지  (0) 2020.08.28
치매  (0) 2020.07.18
Posted by headiron
,

지난 WPP 시절에 제일 힘들었던 점은

API를 혼자 하다 보니 OnCall은 언제나 나여야 했고,

항상 노트북을 들고 다녀야 했었다. 

 

OAS acquisition 이 후 팀 변경으로 지금의 Supply Integration 팀에 오면서 제일 좋은 점은

혼자 다 해야 하는 경우가 사라졌다는 거였다.

 

일단 새로 Join했으니 내가 단독으로 책임져야 할 일도 없거니와

항상 5명의 팀원을 가능하면 유지 했었기에 크게 Stress 받을 일도 없었다.

 

AT&T 인수후에도 그 인원을 유지 하며 2020을 시작했는데...

올초에 John이 그만두고.. 코로나 사태 터지며 팀장이던 Jie 도 그만두고...

오늘로 Dawid까지 그만두게 되었다.

 

결국 작년에 Join한 Zack과 나만 남게 되었는데..

Zack은 또 U.I쪽 일만 했으니.. 

 

팀원을 충원한다고는 하는데.. 언제가 될지...

집사람한테 사정을 얘기했더니 ... 빨리 그만두고 딴 회사 알아보라고.. :-) 

뭐.. 농담인건 알지만... 집사람도 옆에서 봐왔으니. 대충 감으로 알고 있는 분위기..

 

결국 행복했던 5년은 지나고.. 다시 예전 생활로 돌아갈 듯하다.

다만.. 예전에 비해선 Essential에서 조금 벗어난 업무를 하고 있다는 게 좀 위안이 될까...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잡은 플룻  (0) 2020.11.16
이건희 회장  (0) 2020.10.27
아버지  (0) 2020.08.28
치매  (0) 2020.07.18
I'm working at WarnerMedia  (0) 2020.05.02
Posted by headiron
,

내내 즐거웠던 Cherry Spring 가족 캠핑에서 한가지 아쉬웠던 건... 어디서나 보여지는 "Trump, Pence 2020" 사인 이었다.

4박 5일 동안 "Biden" 사인은 딱 두번 정도 본 듯 하다.

 

Rural 지역이라지만.

그 많은 사인을 보면서 저사람들은 Trump가 해준게 뭐가 있어서 저렇게 Support를 할까... 

그리고 Trump가 지면 과연 저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 까 하는 생각이었다.

 

다행히 우리 지역에서 보이는 수 많은 "Biden" 사인을 보면서 조금은 마음이 누그러 들었다. 더 가슴이 놓이는 건...

지난 중간선거 때 Trump와 함께 있는 사진을 내세워서 재선에 성공했던 공화당 하원이

TV광고에서 본인을 Independent 후보라며 Trump, 그리고 공화당과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다른 지역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Phily Suburban지역은 더이상 Trump로는 승부를 볼 수 없다는 반증이 아닐까.

 

아침을 먹으며 대통령 선거 얘기가 나왔다.

내가 워낙 Trump를 싫어해서 율이도 Trump를 싫어한다. 주로 거짓말을 많이 해서 나쁜 사람이라는 얘기 정도를 했는데..

그럼 BIden은 거짓말을 하지 않느냐고 물어 온다. 정치인이 정직하고 거짓말을 안 한다는 그런 뻔한 거짓말을 할 수 없어 이렇게 얘기해줬다.

 

Trump는 미국의 대통령이니깐... 주위에 정말 똑똑하고 훌륭한 사람이 많이 있단다.

근데... Trump는 주위의 훌륭한 사람 얘기는 듣지 않고 자기가 생각하는 옮은 일만 하려고 한단다.

서로 살아가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일에는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있을 수 밖에 업는데..

Leader는 그 의견들을 모두 경청하고 그리고 결정해야 하고,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사람들을 설득하거나 이해를 구하려 노력해야한다.

작은 모임의 Leader건 큰 그룹의 Leader건 그래야 한다.

 

그렇게 얘기했더니 율이는 대통령이 되기 싫단다... 

 

앞으로 두달 어떤일이 벌어질지는 모르지만.. ( 솔직히 선거에서 져도 Trump는 승복하지 않을 것 같다. )

내년 1월엔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그런 미국 대통령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비록 내 나라는 아니지만.. 율이 그리고 내 자손들이 살아 갈 나라일테니깐... 

'사는이야기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ga back door & First saving account  (0) 2021.04.21
코로나,우체국 해외배송  (0) 2020.11.13
Flooding  (0) 2020.08.15
HVAC 교체  (0) 2020.08.04
Refinance  (0) 2020.07.28
Posted by headiron
,

아버지

사는이야기 2020. 8. 28. 12:36

몇 일전 옛생각에 예전 사진첩을 들여다 보다가 아버지랑 같이 찍은 몇 개의 사진을 보았다.

사진에 대한 기억은 없어도 어렸을 떄 곧잘 나를 대리고 많이 다녀 주셨던 기억이 나는데...

초등학교 졸업 할 때 쯤부터 아버지랑 찍은 사진이 없다. 뭐.. 그 때부터 집안이 안 좋아 지기도 했으니... 이해는 가지만...

잋혀진 교회 친구들 사진은 많은데 정작 가족과 찍은 사진이 없다니.. 

 

어렸을 적 제일 좋았던 기억은 매달 아버지 동창 모임에서 가족 동반 야유회 갔던게 기억에 남는데...

나는 율이에게 어떤 기억을 만들어 주고 있나 싶다.

 

아침에 운동하면서 들었던 팟캐스트에서 "아이들은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는 말을 들으니

율이에게 나는 어떤 아빠로 보이고 기억될 까 조금 걱정이 된다.

 

사진속 아버지 처럼 항상 율이에게 환하게 웃어주는 그런 아빠이고 싶은데...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 회장  (0) 2020.10.27
다시 5년 전으로...  (0) 2020.09.26
치매  (0) 2020.07.18
I'm working at WarnerMedia  (0) 2020.05.02
현 직장.. 전 직장 .. 이야기..  (0) 2019.08.22
Posted by headiron
,

코로나 사태로 시작했던 올해...

2주 동안 A/C가 고장나서 고생했었는데...

이번에는 비 피해를 당했다. 생각해보니 평생 한 번도 비 피해를 입었던 경험이 없었던 것 같다.

 

일기예보로 허리케인이 지나가고 , 지역 방송에선 토네이도 경보를 방송할 때도 별 걱정 없었는데.

정전이 되면서 Sump pump는 멈추고,

Water powered sump pump가 들어오는 물을 다 처리 못해서 결국 지하가 물에 잠기게 되었다.

 

발목정도 잠기는 정도고...

다행히도 바닥은 타일 , 주로 버릴 물건들 보관하는 창고로 쓰던 거라 그렇게 심한 피해는 받지 않았지만..

혹시라도 다른 곳에 영향을 미칠 까 싶어 근 1주일을 청소하고 제습기를 계속 돌려대고 있다.

 

덕분에 지하실이 많이 깨끗해져서 물건들 정리가 끝나면 이젠 본격적으로 생활공간으로 사용해볼까 한다.

원래는 나 혼자서 음악이나 , 스포츠 관람하는 Man Cave로 사용할려고 했었는데..

뭐.. 그래도 온가족이 즐겁게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건 나쁘지 않은 듯 싶다.

 

주변에 몇 몇 집들도 비슷한 피해를 입었고..

심지어 북동부 필리에서 생긴 토네이도로 

Doylestown 일부는 꽤 피해를 잎었는데 뭐 이정도면 그래도 다행이다 싶긴하다.

 

일단 Sump Pump가 정상 작동하는 동안은 큰 이상이 없었던 듯 싶어

Backup generator, Batter + Solar Panel 조합을 알아 보고 있는데...

마음은 Solar 로 가고 있는데...

Tesla는 일런 머스크 때문에 싫고, 작은 회사는 믿음이 안 가고....

 

뭐.. 어쩃든 다른 지역처럼 여기도 기후변화에 안전한 곳이 아니니 뭔가 대책을 새워야 하지 싶다.

'사는이야기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우체국 해외배송  (0) 2020.11.13
선거  (0) 2020.09.04
HVAC 교체  (0) 2020.08.04
Refinance  (0) 2020.07.28
코로나 ...치킨...  (0) 2020.05.08
Posted by headiron
,

3년 전 집을 살 떄 우리집은 5년 전쯤 Roof Replace공사를 하였고,

3년전쯤에 Termite ( 나무 먹는 무서운 개미 ) 로 Stucco ( 집 Font wall 공사 ) 공사를 한 상태였다.

 

요즘 Community에 있는 꽤 많은 집들이 Stucco, Roof 공사를 하는 걸 보고 , 차라리 좀 일찍 공사한 집을 들어와서 다행이다 싶었다.

다만 HVAC (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nig ) 가 처음 집이 지어질 때 설치 된거라,

집을 살 때 부터 불안해서 여유 자금을 만들어 놓았었는데... 결국 지난 2주간의 Episode로 HVAC를 교체하고 말았다.

 

2주전 점심을 먹는데 집사람이 집이 너무 더운 것 같다고 해서 확인해 보니 

환기구에서 바람은 나오는데 외부의 AC Unit의 Fan이 돌지 않는 것이었다.

검색해보니 AC Unit의 Capacitor 가 문제가 난듯 한데...

Youtube를 보면 어렵지 않게 교체 할 수 있을 듯 한데 

( https://www.youtube.com/watch?v=19A9lvQ6lIA&t=703s )

문제는 여분의 Capacitor가 집에 없어서

Heater때문에 한 번 일했던 업체를 불러 Capacitor를 교체하고 Amazon에 여분의 Capacitor도 주문해 놓았다.

 

주말도 잘 보내고 그동안 못 갔던 IKEA도 가고 했는데... 집사람이 다시 집이 좀 더운 것 같다고 한다.

역시 다시 AC Unit이 돌지 않고 있고, 다시 업체를 불렀는데...

AC Unit이 너무 오래 되서 새로 넣은 Capacitor 의 용량을 못 견디고 터져버렸단다. :-( 

Capacitor 교체 해서 생긴거니 깐 너희가 책임져야 하는 거 아니냐고 안 되는 영어로 몰아 붙였는데... 

AC장비가 너무 오래 된건 자기네도 어쩔 수 없다고.. :-( 

 

AC장비 만 교체 에  6000 , HVAC전체 교체에  9000 정도를 얘기해서 결국 HVAC전체를 교체하기로..

코로나 사태때문에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교체할 장비도 그냥 재고 있는 걸로 해준다나... :-( 

그래도 에너지 효율 좋은 걸로 선택을 하고... 

 

문제는 AC없이 이틀을 지내야 하는데.. 코로나 때문에 호텔 가지도 꺼림직해서 

잠은 찜통 집에서 자고 낮에는 동네 도서관에서 보내게 되었다.

( 도서관에서 일하고 있으려니 예전에 고등학교 때랑 대입 준비할 떄가 생각이 난다는..)

 

교체는 5~6시간 정도 걸려서 했는데...

가끔 내려가서 일하는 걸 보면...

기계 가져와서 철판 짜르고... 수평 맞추어 Unit 붙이고..

왜이리 장치들이 설치 Friendly하게 생산되지 않았는지...

 

어쩃든 새로운 장비하고 나니 AC 장비의 소중함이 더욱 느껴진다.

 

에누리 없이 $9907 지출하고나니 

이제는 또 언제 지붕, Stucco공사할 지 모르겠다 싶어 또 비상자금 모으기를 시작해야 할 것 같다.

 

미국은 집 사면 그 뒤로 유지비가 정말 어마무시 하게 든다는 그런 교훈이....

 

 

'사는이야기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  (0) 2020.09.04
Flooding  (0) 2020.08.15
Refinance  (0) 2020.07.28
코로나 ...치킨...  (0) 2020.05.08
코로나 사태의 단상  (0) 2020.04.08
Posted by headir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