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이 학교의 Weekly news letter를 보니 학교에서 Blood drive를 진행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학교 선생님의 2.5살 된 아이가 백혈병에 걸려서 치료를 받는데, 코로나 이후로 미 전역에 혈액이 부족하니 헌혈하자는 내용이었다. 미국에서 이런 큰 병이 걸리면 경제적으로도 힘들텐데 걱정하면서 율이랑 얘기를 해보니 율이를 가르치시는 수학선생님의 애기라고한다.
그래서 지금 수학은 대체 선생님께서 하고 계시다고... 그 얘기를 들으니 헌혈을 안 할 수가 없어 신청을 했다.
한국에선 SDS다닐때 대학교 다닐때 시간 되면 서울역 헌혈의 집 찾아 가서 종종 했었는데 미국에 와서는 한번도 해 본적이 없다.
( 그때는 100번을 한 번 채워보리라 했는데.. 아마다 한 40번 정도까지 하고 바빠서 못했던것 같다.) 희한하게도 헌혈은 시민권자만 할 수 있을꺼라는 생각을 해서 몇 번 기회가 있어도 한 번도 신청을 안 했다. 어떻게 그런 생각을 했는지..
이번에는 율이 학교에서 Primary Election Day에 한다고 해서.. 한국 처럼 헌혈차와 와서 진행하나 보다 했더니
학교 강당에 이동용 베드를 몇 개 가져와서 진행을 했다.
일단 Check-in을 하고, 문진 항목도 다 입력한 후에 간호사(?) 와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당황하면서 Power red를 신청했는데... 그걸 할 수 있는 인원이 지금 없는데 그냥 전혈을 해도 되겠냐고 묻는다. 난 그냥 헌혈하러 와서 뭘 해도 괜찮다고 근데 Power Red이 뭐냐고 물으니 혈장 성분헌혈인듯 하다.
도움 줄려 온건데 뭘 해도 상관 없다고.. 그냥 전혈로 하기로 하고 진행했다.
집사람이 율이한테 좋은 교육일 것 같다고 같이 데려왔는데.. 율이는 헌혈하면 나눠주는 음료수랑 과자에 더 관심이다.
아이스크림 가게 가서 , 왜 헌혈이 필요한지 . 헌혈을 해도 크게 문제가 없는지를 설명해주니 .. 아직은 조금 아리송해하는 눈치다.
다만 그런 걸 몰라도 살아갈 수 있게 건강하게 잘 자라준게 고마울 따름 이었다.
알지는 못하지만 부디 잘 치료 받고, 골수 기증자 얼른 찾아서 다시 건강하게 잘 자라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FB을 보다보면 짧은 동영상 보기 기능이 생겼다. 뭐 TikTok이 워낙 휩쓸어 대니 FB도 대응해야지.. :-)
그런데 예전에 내가 Office를 봐서인지 Office관련 동영상이 꽤 많이 들어온다. 뭐.. 가끔 동영상 보다 보면 재밌긴 한데.. 문듯 Office 회사 상황하고 Xandr하고 Overlapping이 좀 된다.
Office 는 Dunder Mifflin이라는 오피스용 용지 공급회사 의 Scranton branch 에서 벌어지는 드라마인데.. 회사도 그리고 Scranton도 사양길에 접어드는 회사/지역이 배경이다. 그래서인지.. Dunder Mifflin은 Downsizing도 몇 번 하지만 결국 몇 번의 M&A를 겪게 된다. 그러면서 조직도 흔들리고.. 결국은 나중에 안정을 찾아 가지만..
OAS시절부터 보면 AppNexus -> AT&T -> MS이렇게 몇 번의 M&A를 겪었다( 겪고있다.). 뭐 Dunder Mifflin처럼 쓰러져가는 그런 건 아니지만..그렇다고 잘나가는 것도 아니다. ( OAS도 약간 버린 자식이 됐고, AppNexus 시절도 Unicorn으 불렸지만, 그렇게 실적이 좋았던 것도 아니다.)
뭐 다들 MS 인수를 두고 좋다고 하지만. M$ 소리 듣던 시절, 각 Div 끼리 총질 한다는 놀림 받던 시절, Acquintive 인수 했다가 결국 shutdown 시킨거나.. 사실 새로운 CEO들어와서 Cloud Biz 잘 해나가면서 몇 년 다시 좋은 얘기 듣지만
반대로 한 두번 헛 발질 하면 뭐... 더구나 Blizzard인수도 왠지 AT&T의 TImeWarner인수 느낌도 나고..
뭐..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 오피스 처럼 Happy Ending이 됐드면 하는 바람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