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전 미국와서 생활 중 달라랐던 것 중 하나가 와이파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거 였다.

특히나 ISP들이 제공하는 Router들이 Wifi기능이 함께 있어 집에서는 어디 서든 편하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예전에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동안은 ISP ( 컴캐스트 , 버라이전) 이 제공하는 Router들 사용하는게 큰 문제가 없었는데,

2층 집을 사서 지내보니 생각외로 Dead spot이 많이 생기는 거였다.


컴캐스트를 이용하기에 Dead spot 에서는 무료 컴캐스트 와이파이를 연결해서 사용을 하긴 했는데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다. 

거기에 Router 문제인지 컴캐스트 문제인지 인터넷이 종종 다운 되는 경우가 많이 생겨서 

ISP를 버라이전으로 바꾸면서 구글 와이파이를 설치 했다.


이사 온 후에 ISP/TV Provider를 바꿔봐서 버라이전 장비 LAN포트 까지 알고 있어서 DIY로 할 수 있는데  

무조건 기사가 가야 한다고 해서 어쩔수 없이 불렀는데,

마침 온 친구가 구글 와이파이를 한 번도 본적 없단다. 

뭐 내가 알아서 다 설치하는 거 보더니 오히려 신기해 하는 눈치...


일단 버라이젼 장비가 있는 베이스먼트에 하나를 설치하고 인터넷을 연결한 후  

1층 거실에 하나 , 2층 집사람 방에 하나 연결해서 베이스먼트의 메인 장비와 Pairing하고 나니 

집 전체의 Dead Spot이 없어졌다.

관리도 App으로 할 수 있어 편리하고 Coax 케이블이 없어 지니 집안도 더 깔끔해졌다.


집안 전체 인터넷이 좋아지고 나니 스마트 홈에 대한 욕심이 더욱 생겨난다.


일단 Nest Thermostat를 지난 봄 부터 쓰고 있어서 꾸준히 스마트 홈에 대한 research를 하고 있었는데, 


작년에 뉴욕 가족 여행가면서 2박 3일 차고 문을 열어 놓 은 경험때문에 스마트 가라지 도어를 제일 먼저 보게 되었다.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몇 개 제품들이 있고, 스마트 컨센트를 이용한 DIY 방법들도 있는데 


특히나 Geo fence기능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열어 주는 기능의 제품이 탐이 났다.


근데 하필 우리집에 있는 가라지 도어가 호환되는 제품도 하나고, DIY를 위한 shorting 기능을 찾을 수가 없어서 


스마트 스피커와 호환성이 좋지 않은 ( 심지어 돈도 내야하는 ) MyQ를 어쩔 수 없이 설치 했다.


Geo fence가 되었으면 더 좋을 텐데 싶지만, 

그래도 원격에서 가라지 도어 열고 닫고, 체크할 수 있는 것 만으로도 꽤 메리트가 있을 듯 싶다.


차 타고 내릴 떄 가라지 조명 키고 끄는 게 불편해서 스마트 조명 스위치까지 설치 하고 나니 


가라지가 우리 집에서 제일 스마트 홈이 제일 잘 구축된 공간이 되었다.


뭐.. 요즘 개인 정보 이슈들도 있고 해서 싫어 하는 사람들도 꽤 많지만 


Thermostat, Garage Door, Garage Light를 스마트 장비로 바꾸고 보니 생활이 너무 편해졌다.


아마도 다음 프로젝트는 거실 , 침실 조명 스위치 교체와 Outdoor security camera가 될 듯 싶다.


 My sweet home이 이젠 My sweet smart home이 되어 가고 있다. 

'사는이야기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n't you be my neighbor  (0) 2019.03.08
Star of the week & 여행  (0) 2019.03.03
라이브러리...  (0) 2018.12.18
땡스기빙데이  (0) 2018.12.04
트럼프...중간 선거.. 정치  (0) 2018.11.09
Posted by headir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