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인데 새벽에 눈이 오고 영하 10도 가깝게 온도도 내려가고..
올 겨울에 한파에 폭설까지 오더니
입춘에 또 추위가 오고..
이래저래 올 겨울은 사람들 기억에 오랫동안 남을 듯 하다.
어제 생각해 보니 어렸을 때 항상 2월 4일 전후로 개학 하고 입춘이었던것 같아
혹시나 양력으로 계산을 하나 했더니 맞다.
http://ko.wikipedia.org/wiki/%EC%9E%85%EC%B6%98
그떄의 천문학의 우수성에 쉽게 이해가 가지 않지만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24을 나누어서 24절기를 나주었다고 한다.
그러니 입춘 뿐만이 아니라 24절기 자체가 모두 양력에 기반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도 사용된다는 걸 보면 중국에서 넘어온 풍습인 듯 하다.
24절기를 기준으로 농사를 지었을 듯 한데.
음력을 사용하면서도 24절기를 지켰다는 얘긴데
달력에 기대하면서도 양, 음력 날짜를 놓치는 우리 기준으로 보면
옛 선인들의 지혜가 절로 느껴진다.
올 겨울에 한파에 폭설까지 오더니
입춘에 또 추위가 오고..
이래저래 올 겨울은 사람들 기억에 오랫동안 남을 듯 하다.
어제 생각해 보니 어렸을 때 항상 2월 4일 전후로 개학 하고 입춘이었던것 같아
혹시나 양력으로 계산을 하나 했더니 맞다.
http://ko.wikipedia.org/wiki/%EC%9E%85%EC%B6%98
그떄의 천문학의 우수성에 쉽게 이해가 가지 않지만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24을 나누어서 24절기를 나주었다고 한다.
그러니 입춘 뿐만이 아니라 24절기 자체가 모두 양력에 기반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도 사용된다는 걸 보면 중국에서 넘어온 풍습인 듯 하다.
24절기를 기준으로 농사를 지었을 듯 한데.
음력을 사용하면서도 24절기를 지켰다는 얘긴데
달력에 기대하면서도 양, 음력 날짜를 놓치는 우리 기준으로 보면
옛 선인들의 지혜가 절로 느껴진다.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중한 것들... (0) | 2011.01.08 |
---|---|
석희야 어서 일어나자. (0) | 2010.02.07 |
수고하셨습니다. 윤대표님. (0) | 2010.02.01 |
집 나간 지갑을 찾다. (0) | 2010.01.17 |
사상 최대의 폭설 (0) | 201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