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중 중간 경유지 역활을 하던 테스트 서버가 죽어
다른 서버를 경유해서 offsite 백업을 진행하게 script를 짜려고 하나다
키 기반 인증을 설정하려고 했더니
아뿔싸 그 내용을 테스트 서버에 있던 wiki에 정리 해 놨었다는...-.-
일단 시스템 운영 팀에 문의를 해서 아래와 같이 받았다.
Client측에서
shell> ssh-keygen -t rsa 실행
shell> cd ~/.ssh
shell> id_rsa.pub에 생성된 공용키 정보를 저장
Server측 (remote )에서
shell>> cd ~/.ssh
shell>> vi authorized_keys
shell>> Clicent측에서 생성된 공용키 정보를 authorized_keys 파일 끝에 추가한다.
주의 사항
다른 서버를 경유해서 offsite 백업을 진행하게 script를 짜려고 하나다
키 기반 인증을 설정하려고 했더니
아뿔싸 그 내용을 테스트 서버에 있던 wiki에 정리 해 놨었다는...-.-
일단 시스템 운영 팀에 문의를 해서 아래와 같이 받았다.
Client측에서
shell> ssh-keygen -t rsa 실행
shell> cd ~/.ssh
shell> id_rsa.pub에 생성된 공용키 정보를 저장
Server측 (remote )에서
shell>> cd ~/.ssh
shell>> vi authorized_keys
shell>> Clicent측에서 생성된 공용키 정보를 authorized_keys 파일 끝에 추가한다.
주의 사항
출처 : http://soul.tistory.com/37
ssh는 다른 사용자가 쓰기 권한을 갖을 수 있다면 키를 전송하지 않습니다.
예상컨데 .ssh/ 디렉토리를 user가 직접 생성했는데 이게 775(rwxrwxr-x) 로 생성됐을 것 같습니다.
.ssh/ 디렉토리는 700으로 .ssh/ 아래의 파일은 600으로 변경
authorized 파일을 생성할 경우에 644 ( rw-r--r-- ) 로 설정을 하여야 한다.
테스트 서버에서 작업 중에 664 ( rw-rw-r--)로 생성되었는데, 적용이 되지 않아 다른 서버와 비교후에 권한을 644로 바꾸니 바로 적용되었다.
서버에서 sshd.conf 파일을 수정해줍니다.
vi /etc/ssh/sshd.conf
sshd.conf 파일안에 AuthorizedKeysFile 항목이 주석처리가 되어있으면 주석해제를 해주고 위에서 별도의 이름으로 키파일을
변경하였다면 임의로 지정한 파일명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예 - AuthorizedKeysFile .ssh/test_keys)
- sshd.conf 수정 후 sshd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service sshd restart 또는 /etc/init.d/sshd restart
ssh는 다른 사용자가 쓰기 권한을 갖을 수 있다면 키를 전송하지 않습니다.
예상컨데 .ssh/ 디렉토리를 user가 직접 생성했는데 이게 775(rwxrwxr-x) 로 생성됐을 것 같습니다.
.ssh/ 디렉토리는 700으로 .ssh/ 아래의 파일은 600으로 변경
authorized 파일을 생성할 경우에 644 ( rw-r--r-- ) 로 설정을 하여야 한다.
테스트 서버에서 작업 중에 664 ( rw-rw-r--)로 생성되었는데, 적용이 되지 않아 다른 서버와 비교후에 권한을 644로 바꾸니 바로 적용되었다.
'개발자세상 > Shell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ell script debug ( -x ) (1) | 2013.08.04 |
---|---|
Shell 에서 FTP uploading check (0) | 2013.03.21 |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전체 파일 diff 실행하는 script (0) | 2009.01.30 |
VI 문자열 대치 (0) | 2009.01.23 |
특정 이름의 file이 같은 파일 들인지 비교 (0) | 2008.12.08 |